-
Starter02_Part.3 Group Exercise (2023. 3. 24)STUDY: TWA후디니 랭글러 2기 Starter 2023. 3. 29. 15:03
Group Exercise
blast를 활용하여 group으로 나눈대로 뗴어낸 후 clean을 연결하여 불필요한 group 정리하기
- clean: ✅Remove Group 활성화
노드가 복잡해질 때, alt를 누른채 노드 라인을 클릭하면 point가 생기면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사이드미러에서 거울면을 만들어 줄 때 사이드미러의 거울부분 라인을 활용한다.
- edge를 loop로 선택하고 scene view에서 edge collapse를 선택하면 primitive를 닫을 수 있다.
- 여러 primitives를 선택할 때 면을 하나 클릭하고 shift + a를 누른 채 다른 primitive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 poly extrude를 활용하여 거울 연출
- edge collapse로 닫아준 면을 remesh로 정리해준다. 이 때, 파라미터에 직접 수치값을 입력하면서 면을 정리해주어야 과부하에 걸리지 않는다.
모델링의 일부 group을 새로운 모델링 파일로 교체하기
- copy to points를 활용하여 기존의 모델링(여기서는 tire)를 새로운 모델링으로 바꿔주기
- 교체하고자 하는 모델링의 위치를 초기화(0, 0, 0)으로 만들어 주기: [Transform] - [Move Centroid Origin 🖱️click]
- bound 노드를 활용하여 기존 모델링의 중심 위치를 파악학 해당 위치로 치환시킨다.
- bound노드는 oject의 x, y, z축의 최소/최대 위치값을 기준한 외곽라인을 따라 boubding box를 만든다.
- bounding box의 타입은 box, shpere, 등등이 있는데 sphere를 선택할 경우 object가 가진 가장 큰 위치값으로 구를 만들어 중심 위치를 구할 수 있다. ➡️ add: ✅Delete Geometry But Keep the Point 활성화하여 구형태의 bounding box를 제거하고 중심점만 남긴다.
- ✅Accurate Bounds 를 활성화하여 object 크기에 딱 맞에 크기가 조절된다.
- 크기 조절을 위해 [attribute wrangle] - 🇻 🇪 🇽 @pscale = chf( "size" );
group으로 나눠준 뒤 할 일
1️⃣ 네트워크뷰 정리하기
2️⃣ 정보 정리: 필요없는 attribute 정리, 필요한 attritbue 만들기
- subnet으로 묶어준 뒤, clean 노드를 노드 라인별로 마지막에 연결
- ✅Remove Attribs 활성화, ✅Remove Groups 활성화
- 원하는 기능을 활성하고자 하는 attirbute 만들기
- [attribute wrangle] - 🇻 🇪 🇽 s@mat = chs( "name" ); , s@part = chs( "name" );
- 동일한 매터리얼을 주고자 하는 group에 해당 attribute wrangle 적용
- subnet으로 묶인 group내에 매터리얼을 분리해야 한다면 subnet 안으로 들어가 각각 attribute wrangle 연결(필요에 따라 blast로 떼어내어 구분)
- subnet 안에서 활성화된 frag 에 주의(활성화되어 있는 단계에 있는 결과물이 subnet의 결과물로 나타난다)
01네트워크 뷰 정리 - 네트워크 뷰, 정보를 정리하고 난 후 최종 결과물의 크기를 정한다.
3️⃣ 파일 캐시를 활용하여 후디니가 더이상 면작업(계산 반복)을 하지 않도록 한다.➡️ 더이 상 수정하지 않을 최종작업물을 저장하고 불러온다.
- file cache로 파일명, 확장자, 저장 경로 지정하고 애니메이션이 아니기 때문에 [Caching] - [Sequence] - [Enaluate As: Single Frame]
➡️ Save to Disk ➡️ ✅Load from Disk 활성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버전이 바뀌면서 인터페이스가 조금 바뀐 듯하다 4️⃣ 렌더 세팅
5️⃣ 카메라 세팅
6️⃣ 매터리얼 세팅
내가 지금 작업하고 있는 geometry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영리하게 group을 만들고 노드를 잘 정리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냥 비슷한 것들끼리 묶을 수도 있겠지만 더 복잡하고 움직임이 정교해야 한다면 생각을 잘 해야 할 것 같았다. 이번 예제에서 중요한 것은 group을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 였기 때문에 그 부분을 계속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STUDY: TWA후디니 랭글러 2기 Star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ter04_Let's render (2023. 3. 28) (0) 2023.04.01 Starter03_Mantra(Material, Group) (2023. 3. 27) (0) 2023.03.29 Starter02_Part2. Group Exercise (2023. 3. 23) (0) 2023.03.28 Starter02_Part1. Group Exercise (2023. 3. 22) (0) 2023.03.28 Starter01_Ep.01 Group (2023. 3. 21) (0)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