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초 입문 3강 part 3 (2023.1.6)
    STUDY: TWA후디니 랭글러 2기 Beginner 2023. 1. 7. 01:22

     

    3part 3

    좌판 아래 부분 만들기

     

    이것이 좌판 아래

     

     

    - LEG_THICK을 이용해보자

    - 점의 위치를 알면 면을 만들 수 있다.

    - 중심점에서 부피를 준 LEG_THICK을 좌판의 점에 적용시켜 다리의 부피만큼 이동한 점의 위치를 잡을 수 있다.

     

    Sort 노드의 활용

     

     

    - 2개를 잇는 선으로 만들지 않고 Transfrom으로 점 위치를 옮겨 Merge로 점 4개를 만들고 면을 만든다.

    - 이때 면을 만들기 위해 점의 순서가 중요한데, Sort 노드를 활용하면 면을 만들 수 있는 순서대로 점을 정렬할 수 있다.

    - Sort 노드를 Transform 노드에 연결시키고 [Sort] – [Point Sort: Reverse]

    - Add 노드로 [Polygons] – [By Group: Closed]

    - Polyextrude로 부피를 만든다

    - Facet 노드를 연결하여 중복된 점을 정리한다.

     

    파라미터 만들기

    - 좌판 아래부분의 길이 y값과 polyextrude한 부피값을 CONTROL 파라미터로 만든다.

    - Float 속성의 UNDER_THICK, UNDER_DEEP

    - 파라미터에 원래 노드의 수치값을 입력하고 Copy to Parameter -> Paste Relative Reference

    - 방향에 맞게 수식에 추가하기: 마이너스(-), 작은 값으로 조절하기 위해 *0.01

    - 부피와 길이가 0이 되어 형체가 없으면 안되기 때문에 최소값 설정

     

    두께와 길이

     

     

    - 나머지 3부분도 만들기

     

    UNDER의 노드들

     

    의자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다리 연결대 만들기

     

    의자만들기에서 가장 쉽다!(인정)

     

    - Polywire: 선에 두께를 주는 노드

    - BlastGroup: FOOT을 불러와서 Polywire 노드 연결

    - Divisions 값을 올려 원형으로 만든다

    - CONTROL[DIV], [SAD] 파라미터 추가

    - 면의 개수는 정수이므로 Integer 속성의 파라미터

    - Polywire로 부피가 생긴 다리연결대의 Divisions 값은 최소면이 필요한 도형이기 때문에 최소값 3으로 설정

    - 다리 연결대의 지름은 Float 속성의 파라미터

     

    다리 연결대

     

     

    - Null 노드로 네트워크뷰를 정리하고 Merge로 묶고 CONTROL에서 속성값을 바꿔가며 확인하기

     

    !의자의 등받이 높이 설정을 빼먹었다!

     

    - 의자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연결한 Circle의 지름이 커지면 등받이의 길이가 길어진다.

    - [CONTROL] - [BACK]Float 속성의 [TALL] 파라미터 추가하고 영역 설정

    - 양쪽 등받이 CircleRadius에 파라미터 적용

     

    이게 다 의자 만들기의 노드

     

    의자 파라미터

     

    그리고 의자가 거기에 있었다

     

     

    Subnet으로 그룹핑

    - CONTROL 노드만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자구조의 모든 노드를 네트워크뷰에 펼쳐놓을 필요가 없다.

    - Subnet = Folder

    - 노드 구조의 안전성을 위해 노드 구조의 시작과 끝에 Null을 연결한다.

    - 시작과 끝의 Null을 제외한 노드를 모두 선택하고 [Create subnet from selected]

     

    Null의 활용

     

     

    - Subnet 안으로 들어와서 Output 노드 연결 (나는 이미 연결되어 있었다..!)

    - Subnet안의 어떤 단계에서의 노드 Display Flag를 활성화하더라도 Output의 결과만 Sub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치 EOD(End of Document)

     

     

    01
    선생님과 다른 나의 점, 선, 면 개수.. 왜지.. 왜 더 많지....

     

     

    Group 정리

    - Group Delete 노드로 불필요하게 묶여있는 Group을 지우고 다시 그룹 지정 

    - Bevel을 줄 때, 작업이 무거워질 수 있기 때문에 Blast 노드로 그룹별로 적용

     

    그룹의 활용


     

    CONTROL 정리

    - CONTROL_BEVEL 패널 추가: PolyBevel 값 제어를 위해

     

    bevel 값 제어 CONTROL

     

     

    파라미터 추가

    - Float 속성의 DIST 파라미터: Distance

    - Integer 속성의 DIV 파라미터: Division

     

    다리연결대의 지름과 면 나누기

     

     

    - [PolyBevel] – [Group Type: Edges]

     

    모든 그룹에 PolyBevel

     

     

    의자 최종.jpg

     

     

    댓글

Copyright ⓒ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