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초 입문 4강 (2023.1.9)STUDY: TWA후디니 랭글러 2기 Beginner 2023. 1. 10. 00:43
논리를 이해하기
애니메이션(키프레임 & no 키프레임)
초침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시계 만들기 그리고 똑딱똑딱 움직이는 시계 이론
똑딱똑딱 움직이는 시계, 디테일에 대한 이론
Attribute VOP, Attribute Wrangle 기본이해와 비교
똑딱거리는 시게 이론 마무리 그리고 실습
VEX
후디니에서 수학을 알아야하는 이유: 램프 만들기
램프 만들기 아이디어, if A와 B가 같을 때
If A와 B가 다를 때, 램프 컨셉 다지기
램프 뼈대 만들기
램프 면 작업하기
FX와 IK에 대하여
과제:
끊임없이 움직이는 시계
-시침이 360도 움직일 때, 분침은 60/360, 6도만큼 움직인다.
똑딱거리는 시계
-초침의 반동까지 묘사하기
램프 만들기
-좌표 값은 base와 target에만 입력
-target이 멀어질수록 head의 관심이 줄어든다.
-target이 가까우면 일정 거리를 두고 비춘다.
4강 part 1
Animation: Key-frame, No Key-frame
Animation: 시간에 따른 기록(data)의 연속
Frame: 애니메이션 플레이를 위한 최소 이미지 단위
FPS(Frame per Second): 1초 사이의 이미지(frame) 개수
예시)
24frame: 24장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플레이 된다.
24FPS: 1초에 24프레임
4FPS: 1초에 4프레임
Key-frame: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값을 입력하고 기록하기 위한 수단

속도(위치값)와 프레임 그래프 시간 - 속도 그래프

다양한 시간-속도 그래프 - 등속도 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속도가 빨라졌다가 느려진다.
- 속도가 느려졌다가 빨라진다.
- 속도가 천천히 증가하다가 천천히 감소한다.
- 속도가 매우 빠르게 줄어든다.
- 속도가 천천히 줄어든다.
- 속도가 빠르게 증가한다.
-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다가 빠르게 감소한다.
-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다가 천천히 감소한다.
키프레임 만져보기
- 숫자가 쓰여진 말풍선: 현재 프레임

현재 프레임: 1 - 마우스 드래그로 움직이거나 프레임 숫자를 수정하여 현재 프레임을 바꿀 수 있다.
- 이 애니메이션의 FPS는 24이므로 24프레임마다(즉, 1초마다) 프레임이 표시되어 있다.
FPS를 바꾸는 방법
- [Global Animation Options] – [FPS: __값]

Global Animation Options - [Strat]와 [End]로 전체 작업이 가능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작업 구간 설정 - 프레임 구간의 화살표를 이동해 현재 작업 구간을 설정할 수 있고, 구간을 움직일 수 있다. (FPS: 24, Strat:1, End: 72)

01키프레임 구간 키프레임 주기
- Transform의 Translate을 키프레임에 만들어 주어야 애니메이션이 가능하다.
방법1. 위치 값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Set Keyframe - 다른 키프레임에서 다시 위치 값을 변경했을 때는 반드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Commit Change로 설정값 고정
- 처음 플레이를 시작하면 후디니가 보여줄 수 있는 최대한의 속도로 재생이 되기 때문에 원활한 작업을 위해 재생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 [Real Time toggle 클릭🖱] (그러나 이 또한 실제 속도는 아니므로 실제 재생 속도는 Preview에서 확인해야 한다.)

재생 속도 확인 방법2. x, y, z위치 값에서 alt + 클릭🖱한다. x, y, z값 모두를 한꺼번에 키를 주고자 한다면 속성명에 alt + 클릭🖱
키프레임 지우기
방법1. 항상 현재 키프레임일 때 가능하다.
- 키프레임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Delete Keys
- DEL키
방법2. 위치 값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Delete Channels ➡ 키프레임이 특정 위치 값에서 적용된다.
키프레임 이동하기
방법1. 키프레임을 선택하고 마우스 휠 키 클릭🖱하고 이동
방법2. Shift를 누른채 드래그할 경우 드래그한 만큼 영역 선택 ➡ 마우스 휠 키 클릭🖱하고 이동
- 다른 노드를 모두 선택했을 때도 가능하다.

키프레임을 움직여보자 Object가 S자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만들기
- Add에 연결된 [Transform] – [Translate]의 위치를 S자로 이동시킨다.
- Box에 [Transform] – [Rotate] 값을 조정해 박스의 방향 조절

S자로 움직이는 박스 노드 키프레임 타이밍 수정하기: Animation Editor 이용
- 오브젝트에 Transform 노드를 연결하고 Translate, Rotate, Uniform Scale에 키프레임을 주어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 Animation Editor 창 열기

애니메이션, 영상 편집 타이밍에 쓰이는 그래프 - Channel List에서 키프레임 채널 값을 확인할 수 있다.
- 빈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상하좌우 드래그로 확대/축소, 마우스 휠 키 클릭🖱으로 화면 이동
- H키: 그래프 전체 보기
- Selection Tool: 선택
- Box Handle: 원하는 키프레임을 드래그하여 선택(영역 지정),지정된 영역의 크기를 수정할 수 있다.

Box Handle - Box Handle with Pivot: 가운데 중심(Pivot)의 위치를 기준으로 크기가 변한다.
- Pivot 위치 이동 가능

Box Handle with Pivot - 키프레임의 프레임과 위치 값을 확인하고 수정도 할 수 있다.

01같은 값이에요 - 키프레임에 달려있는 핸들을 조절하여 곡선의 모양(애니메이션 속도)을 바꿀 수 있다.
키프레임 선택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는 도구 메뉴
- 핸들에 적용되는 메뉴

✅필수, ➡handle 편집 공이 튀는 애니메이션 만들어보기

공의 그래프 또잉 또잉 또르르.. 4강 part 2
$F로 애니메이션 만들기: 후디니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 키프레임 없이 애니메이션 만들기
$F란?
-현재 프레임을 불러오기(시간의 변화에 따라 커지는 프레임 숫자)
HScript Global Variables(H스크립트로 쓰여진 글로벌 변수)
1. $F: 지금 몇 프레임인지
2. $FEND: 몇 프레임에 끝나는지
3. $FPS: Frame per Second
4. $FSTART: 몇 프레임에 시작하는지
5. $PI: 원주율 π는?
6. $T: 지금 현재 시간은?
7. $HIP: 지금 이 후디니 파일의 경로는 어디인지
키프레임 없이 애니메이션 만들기
- 좌표 값에 $스크립트를 입력하였을 때, 연산이 가능한 수식이 된다.

전부 가능하다! - Sphere – [Primitive Type: Polygon]를 Add에 Copy to Points 노드로 붙이고, Add에 포인트 생성 -> x값에 $F 또는 $FPS
- Geometry Spreadsheet에서 변하거나 또는 변하지 않는 값을 확인한다.

01Sphere의 이동 방향 $T = ($F-1)/$FPS
- 후디니에서 단위 값은 M값으로 매우 크다. 1=1미터
- $F에 사칙연산, 삼각함수로 수식을 만들 수 있다.
원운동 만들기
- x값 cos 함수와 z값 sin 함수가 동일해야 한다.

함수 안에 같은 값 - 함수에 다른 수식을 추가하면 원의 형태가 바뀔 수 있다.
- 함수 자체가 달라지면 원을 그릴 수 없다.
원을 그리는 속도 제어하기: 함수 안의 숫자를 파라미터로 만들기

원을 그리는 Sphere의 노드 - 점을 생성한 Add 노드의 파라미터 수정
- [Add] - [Edit Parameter Interface] – [root]에 Float 속성의 [SPEED] 파라미터 추가

SPEED 파라미터 - 새로 만든 파라미터 = 채널
- SPEED = ch(SPEED)

ch(SPEED) 원운동 수식에 반경 곱하기
- Add의 파라미터에 Float 속성의 XRAD, ZRAD 파라미터를 추가
- 함수 값에 변수를 곱하면 원운동이 아닌 움직임을 만들 수 있다.

01변수 곱하기 CONTROL 노드에서 제어하기
- 속도: Float 파라미터 CN_SPEED 생성
- 반경: Float Vector 2 파라미터 CN_RAD 생성
- 비율(함수에 곱해진 값): Float Vector 2 파라미터 CN_RATIO 생성
- CONTROL 노드의 파라미터를 각각 Copy Parameter하여 Add 노드에 Paste Relative References

CONTROL에서 제어할 수 있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시계
Hint. 원운동: 시침, 분침, 초침
1초 = 6도
60초 = 1분
60분 = 1시간
$FPS = (1초=6도) = 24프레임
4프레임 = 1도
1프레임 = 1/4도 = 6도/24프레임 = 6/$FPS
시계방향: 마이너스(-) 수식 추가
➡ -$F*(6/$FPS)
6도 움직일 때 24프레임
0.25도 = 1프레임
시계방향: 마이너스(-) 수식 추가
➡ -$F*0.25
1분 = 1440프레임
60초 = 1분 'STUDY: TWA후디니 랭글러 2기 Begin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초 입문 5강 part 2 (2023.1.11) (0) 2023.01.12 최초 입문 5강 part 1 (2023.1.10) (0) 2023.01.10 최초 입문 3강 part 3 (2023.1.6) (0) 2023.01.07 최초 입문 3강 part 2 (2023.1.5) (0) 2023.01.05 최초 입문 3강 part 1 (2023.1.4) (1) 2023.01.04